[우리글] 훈민정음 해례본 제자해(制字解) - 초성 [ㄴ]
천산태백 칼럼니스트 | 입력 : 2013/02/20 [07:59]
[우리글=플러스코리아] 천산태백 칼럼니스트= 舌音ㄴ象舌附上月之形 혓소리 ㄴ은 혀가 윗 잇몸에 붙은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ㄴ은 혀가 윗 잇몸에 붙은 상태에서 떨어지면서 내는 소리인데, 혀가 윗 잇몸에 붙은 모습을 그림으로 나타내어 글자로 만든 것이 된다.
실제 ㄴ은 윗 꼭지가 왼쪽으로 조금 나온 상태의 글자로서 잇몸에 닿아 있는 모습을 띤 글자가 된다. 그리하여 ㄴ은 이어진 모습을 나타내는 글자이며, 뜻으로도 ㄴ이 들어가는 말은 이어지는 뜻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새가 날다라는 말의 날다는 계속하여 날개짓을 하여 나는 동작을 나타내는 말이 된다. 계속하다는 것은 이어진 모습이나 동작을 나타내는 말이며, 연결된 뜻을 지니는 것이다.
국어에서 "연결하다"라는 말의 동의어로서 "잇다"라고 할 수 있는데, 이 "잇다"는 원래 "닛다"에서 두음법칙에 의하여 ㄴ이 탈락하여ㅇ으로 변음된 것이 된다.
또, 간다는 말의 ㄴ은 현재 진행을 나타내는 말로서 계속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또, 나(我)라는 말은 工과 같이 하늘과 땅을 니은(이은) 존재를 나타내는 말이 되는데, 工이라는 글자는 ㄴ과 ㄴ이 반대방향으로 겹쳐진 모습의 글자로서 [ㄴㄴ.]라고 발음되며, 지금의 [나]로 변한 것으로 된다. 工이라는 글자는 단군조선 시대 초기에 정립된 가림토38자에 포함되어 있는 글자이기도 하다.
이처럼 ㄴ이라는 글자는 이어진 모습을 나타내는 소리로서 ㄴ이라는 글자가 내포된 말은 이어지거나 계속되는 뜻을 나타내는 말이 되는 것이다.
<저작권자 ⓒ pluskorea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플러스코리아 독일어
- translate.google.com/translate?hl=ko&sl=auto&tl=de&u=www.pluskorea.net/
- 플러스코리아 아랍어
- translate.google.com/translate?hl=ko&sl=auto&tl=ar&u=www.pluskorea.net
- 플러스코리아 영어
- translate.google.com/translate?hl=en&sl=ko&u=www.pluskorea.net/
- 플러스코리아 일어
- j2k.naver.com/j2k_frame.php/japan/pluskorea.net/
- 플러스코리아 중어(中國語번체)
- translate.google.com/translate?hl=ko&sl=ko&tl=zh-TW&u=www.pluskorea.net/
- 플러스코리아 프랑스어
- translate.google.com/translate?hl=ko&sl=auto&tl=fr&u=www.pluskorea.net/
- 플러스코리아 히브리어
- translate.google.com/translate?hl=ko&sl=auto&tl=iw&u=www.pluskorea.net/
 |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