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地球가 갈라지는 소리가 들린다

<화보>잇단 강진에 지구촌 화들짝…평창 지진 큰 충격

소정현 기자 | 기사입력 2004/01/22 [10:58]

地球가 갈라지는 소리가 들린다

<화보>잇단 강진에 지구촌 화들짝…평창 지진 큰 충격

소정현 기자 | 입력 : 2004/01/22 [10:58]
한국인에게 지진이란 언제나 다른 나라의 재난, 우리 땅에서는 결코 일어나지 않을, 그러므로 신경쓸 필요 없는 어떤 막연한 불운의 이야기에 불과하다. 스스로 경험해보지 않은 일에 대한 인간의 이해 능력은 극히 빈약하다.
 
우리도 예외가 아니어서 다른 나라 지진 피해 소식은 우리에게 그저 몇 개의 차가운 추상적 숫자로 그친다. 신문방송의 보도를 접하고도 우리의 반응은 "응, 그랬어?" 정도다. 이런 반응의 밑바닥에는 "우린 아냐, 우린 괜찮아"라는 안도감이 깔려 있다. 

그러나 불행인지 다행인지 우리가 이제 이런 안도감에 계속 안주하기는 더이상 어려울 것같다. 기상청이 "20일 밤 8시 56분 53초 강원도 평창군 도암면 지역(북위 37.68도, 동경 128.59도)에서 규모 4.8 지진 발생을 공식 밝힌바, 단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사람들이 감지할 수 있었던 이례적 강진이었다.
 
한반도 역시 지진 안전지대가 절대 아니라는 것이 학계 연구 결과뿐만 아니라 여러 기관에서 그 징후가 속속 보고되고 있어 대책 마련에 소홀하다면 후회막급의 낭패 초래는 불 보듯 할 것이다. 화보를 통해 비친 세계 각국의 지진 참상들을 생생하게 살펴본다.  <참조 아래 포토는 2004년 12월 인도네시아 해일 지진 당시 소개된 것입니다.> 
 
▲1999년 9월 대만 지진의 모습. 멀쩡한 건물이 일순간 힘을 잃고 내동댕이쳐졌다.     ©브레이크뉴스

 
▲1988년 12월 아르메니아 북서부에 강진이 발생 2만5천명이 사망하였다. 맥없이 주저앉아 버린 주택들이 설원에 무척 서럽게 느껴진다.    

▲2001년 11월 중국 쿤룬산 지역에서 발생한 강진은 마치 이례적 혹서가 대지를 갈라놓은 것처럼 심하게 균열되어 있다.     
 
▲1906년 4월 18일 샌프란시스코의 대지진. 지진 후폭풍에 경악을 금치 못할 충격은 화재 참상까지 가세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영화 딥 임팩트가 현실화 된 것일까. 지진 여파가 초래할 대타격은 건물붕괴 보다 훨씬 가공할 위력을 지닌 해일의 공습에도 대비를 서둘러야 한다.   
 
▲세계의 주요 지진 다발지역. 그러나 문제의 심각성은 앞으로 여기에만 국한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에 지질학자들은 일치된 견해를 내놓고 있다.    

 
▲여기에서 생존자를 찾을 수 있을까. 터키 구조대원들이 수색견과 함께 강진 발생지에서 구조작업을 벌이고 있다.    

 
 
▲2003년 5월 21일 알제리 북부에 6.8 규모 지진으로 2천300명이 사망하였다.    

 
 
▲ 2004년 12월 인도네시아에서 해양 강진은 동남아시아 인접국들에까지 막대한 인명 손실을 초래하였다.     

 
 [제휴사=브레이크뉴스 호남(원본 기사 보기)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포토뉴스
메인사진
[포토]지리산 노고단에 핀 진달래
1/23
연재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