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주한미군, 서울 한복판서 공포의 지카 바이러스 실험 추진

주한미군 연구소내 생물학적 실험 건수도 최근 크게 늘려

보도부 | 기사입력 2016/05/12 [10:00]

주한미군, 서울 한복판서 공포의 지카 바이러스 실험 추진

주한미군 연구소내 생물학적 실험 건수도 최근 크게 늘려

보도부 | 입력 : 2016/05/12 [10:00]

국내에서 5번째 지카 바이러스 감염자가 나온 가운데 주한미군이 주한미군이 서울 한복판 용산 미군기지 내 실험실에서 세계를 공포에 몰아넣고 있는 지카 바이러스 실험을 추진 중인 것으로 확인돼 파장이 일고 있다.

 


11일 JTBC <뉴스룸>에 따르면, 미 국방부가 생물학전에 대비해 주한미군과 함께 진행하는 주피터 프로그램을 주관하고 있는 미육군 산하의 에지우드 생화학센터는 최근 홈페이지를 통해 군사연구소 역량 강화 관련 소식을 최근 발표했다.

그런데 주피터 프로그램 책임자인 브레디 레드몬드 박사는 "용산에서 지카 바이러스 관련 프로그램을 추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서울 한복판에 있는 용산 미군기지에서 지카 바이러스 관련 실험을 추진하겠다는 것.

우희종 서울대 수의학과 교수는 이에 대해 "(지카 바이러스는) 밝혀야 할 부분이 많은 바이러스 아닙니까? 그런데 그거를 공공연하게 외국 수도 한복판에서 실험하겠다는 것 자체가 늘 말하지만 안하무인이죠"라고 질타했다.

취재진은 이에 대해 에지우드 생화학센터와 미 국방부 측에 지난 금요일부터 여러 차례 답변을 요구했으나, 지난해 탄저균 사태때 미 국방부 측이 빠른 답변을 보내왔던 것과는 달리 이번엔 주한미군 측에 문의하라는 입장만 보내왔고 주한미군은 답을 하지 않았다고 JTBC는 전했다.

이뿐이 아니다. 주한미군 부대 내에서 실험하는 샘플 수도 지난해 탄저균 사태 이후 오히려 크게 늘어난 걸로 확인됐다.

에지우드 생화학센터는 주한미군 부대내 연구소가 개선됐다며 실험 샘플을 늘렸다고 홍보하고 있다. 한국 내 주한미군 부대시설 3곳에서 실험하는 생물학적 작용제 샘플이 하루 2~3개에서 지금은 수십 개까지 늘어났다는 것.

적어도 4배 이상 늘어난 셈으로, 탄저균과 같이 생물학전에 사용될 수 있는 각종 균이나 바이러스 샘플에 대한 실험이 더 많아진 걸로 풀이된다.

연구센터는 실험 장비가 업그레이드됐다고 밝혔지만 안전 조치가 강화됐다고 할 수는 없다. 미국의 경우, 탄저균처럼 강력한 균을 이용해 실험을 할 땐 사막 한가운데 있는 지하 특수터널 구조의 연구소에서 실험을 진행해 모든 위험을 사전에 차단한다.

지난해 탄저균 사고 이후, 미국 정부 측은 주한미군이 사균화된 생물학 검사용 샘플을 국내로 반입할 때 우리 정부에 미리 통보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으나, 우리 국방부는 미군 부대 실험실에서 어떤 실험이 진행되고 있는지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다고 JTBC는 덧붙였다.


원본 기사 보기:서울의소리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포토뉴스
메인사진
완도 약산 해안 치유의 숲, 지난해 대비 방문객 3배 늘어
1/23
연재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