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칠월칠석과 백중절의 세시풍속 의미

혹 악귀가 되어 고생하시지는 않나 하고 조상을 위하여 공양하는..

조성제 무천문화전문위원 | 기사입력 2013/08/24 [07:18]

칠월칠석과 백중절의 세시풍속 의미

혹 악귀가 되어 고생하시지는 않나 하고 조상을 위하여 공양하는..

조성제 무천문화전문위원 | 입력 : 2013/08/24 [07:18]
▲ 우란분재 모습.사진= 국립민속박물관  © 조성제

[민족/통일/역사=플러스코리아]조성제=음력 칠월의 대표적인 세시풍속으론 칠월칠석과 백종이 있다. 칠월칠석인 칠석날은 음력 7월 7일이다. 칠석날의 의미는 먼저 게재된 글을 참조하면 되겠다.
(바로가기= "칠월칠석을 '연인의 날'로 제정하자!" 
 
백종은 음력 7월 15일인데 백종일 또는 백중절이라 한다. 또 망혼일亡魂日 또는 중원中元이라고도 한다.
 
백종이란 이 시기에 과일과 채소가 많이 나기 때문에 백가지 제물을 차린다고 하여 나온 말이다.
 
백중절이 되면 많은 사찰과 무교인 집에서는 조상을 위하여 제를 올리기 위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아온다. 이것을 무교는 백중맞이 불교는 우란분재盂蘭盆齋라고 한다.
 
우란분재는 승려들이 사찰에서 재를 올려 부처님께 공양을 하는 것을 말한다. 신라와 고려 때부터 우란분재盂蘭盆齋를 하여 왔으며 이때 많은 속인들도 사찰을 찾아 공양을 하였다.
 
또 일반 민가에서 조상의 사당에 새로운 과일과 음식을 천신薦新드리고, 술과 고기를 먹고 마시며 술과 노래와 춤으로 하루를 즐겼다.
 
예전에는 백종일을 전후하여 시장이 섰는데, 이를 백종장이라고 했다. 머슴을 둔 집에서는 이날 하루 머슴들을 푹 쉬게 하고 시장에서 물건을 사거나 음주 가무를 하면 흥겹게 놀게 한다. 그래서 백종일을 전후 하여 여러 곳에서 싸름판이 벌어지거나 광대놀음이 성행했다.
 
그리고 그 해 농사를 가장 잘 지은 머슴을 소나 가마에 태운 후 거리를 돌며 흥겹게 놀기도 했다.
 
망혼일이라 하는 것은 백종일 밤에 조상에게 제사를 지냈기 때문이다. 지방에 따라 백종일에 차례를 지내기도 하며 때론 산소에 벌초를 하고 성묘도 했다.
 
백종일은 일손을 놓고 노는 날이지만 제주도에서는 이 시기에 해물이 많이 잡혀 바다 일을 더 많이 한다.
 
사찰에선 백중절은 사월초파일 다음으로 큰 날로 이날 죽은 사람의 영혼에 대한 공양으로 백가지 꽃과 음식을 차려놓고 우란분재를 개최 한다. 조선시대에는 승려들이 거리에 음식을 차려놓고 우란분재를 열기도 하였다.
 
이 때 너무 많은 사람들이 거리로 쏟아져 나와 성종 때는 거리에서 하는 우란분재를 금지시키기도 하였다.
 
백중절에 죽은 사람의 혼을 위로하는 것은 목연존자로부터 비롯되었다. 목연존자의 어머니가 죽어 극락으로 가지 못하고 악귀가 되어 고생을 하고 있는 것을 보고 목연존자가 괴로워 하니 부처님이 우란분재를 열어 백가지 음식을 차려놓고 어머니께 공양하라고 하였다. 그리고 어머님는 악귀에서 벗어나 극락으로 갔다고 한다.
 
그 때부터 백중날에 혹 악귀가 되어 고생하시지는 않나 하고 부모님을 위하여 공양을 하는 날이 되었다. 조선시대 명종 때는 쌀밥을 지어 강가에서 물고기에 밥을 주면서 방생을 하기도 하였다고 한다.
 
자금은 백중이라고 부르고 있지만 본래는 백가지 음식을 차려서 부모님께 공양한다는 의미로 백종이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포토뉴스
메인사진
[포토]지리산 노고단에 핀 진달래
1/23
연재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