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옛날옛적에(28) - 중대(中代)

3. 중대(中代)

안재세 역사전문위원 | 기사입력 2021/01/18 [14:32]

옛날옛적에(28) - 중대(中代)

3. 중대(中代)

안재세 역사전문위원 | 입력 : 2021/01/18 [14:32]

  대동강 남쪽에서 후삼국이 쟁패전을 벌릴 무렵에, 대진국은 서쪽 열하고원 지방의 변방부족으로서 혼란에 빠진 중원지방(오대십국)의 약세를 틈타 급성장한 거란의 급격한 대공세를 받고 당시의 도읍인 상경용천부(영고탑부근)가 어이없이 함락당함으로써 황통(皇統)의 일시적 단절이 초래되었다.

 

▲ 광개토대제의 거란 정벌  © 플러스코리아



   거란은 대진국 영토에 동란국(동쪽의 거란)을 선포했으나, 실제적인 통치능력이 미치지 못한 데다가 즉각적인 대진국 국민들의 격렬한 항쟁에 부딪쳐 불과 2년여만에 동만주 일대에서 철수할 수밖에 없었고, 간신히 서압록(지금의 요하) 동쪽의 요양만을 지키며 만족할 수밖에 없었다.

 

   대진국의 유민들은 세 갈래로 나뉘었다.

 

   한 갈래는 대진국의 동쪽절반을 일찌감치 회복했다.

 

   두번째 갈래는 당시 신라로부터 양위받은 고려와의 접경인 대동강 이북․동압록 이남(즉, 지금의 평안도지역)에 대거 몰려와서 고려의 후원하에 거란에 대한 항쟁에 적극적으로 선봉에 섰다가 후일에 고려에 동화되었다.

 

   세 번째 갈래는 남만주 지역 유민들이었는데, 거란의 지배에 굴종하고는 있었지만 거란의 세력이 약해질 때마다 불사조처럼 항쟁을 되풀이하였다.

 

   거란은 자신들의 세력판도 내에 있던 대진국인들을 숙여진(熟女眞), 거란과 대립․항쟁하던 대진국인들을 생여진(生女眞)이라고 일컬었다. 생여진의 땅인 대진국 동부지역에는 정안국․오사성발해국(定安國․烏斯城勃海國)등이 건설되어 거란과 끈질기게 맞섰다.

 

   고구려의 옛 강토 회복을 목표로 내건 고려가 군비를 강화하는 한 편 대진국 후속국가들을 지원하여 거란을 곤경에 몰아 넣자, 고구려 옛 강토의 서쪽 절반을 차지하고 있던 거란의 성종왕은 마침내 국운을 걸고 고려에 대한 대공세에 나섰다.

 

   그러나 세차례에 걸쳐서 수양제왕의 침략군과 맞먹는 총130여만의 대군을 일으킨 거란은, 간신히 텅 비어있던 황도(皇都) 개경까지 단 한 번 발을 들여놓을 수 있었을 뿐으로 수십만 대군이 몰살당하는 등 참패를 거듭하다가, 결국에는 고려에 대한 침공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거란은 국력을 통째로 기울인 고려침공에 실패함으로써 내분(內紛)이 치열해지며 급속히 약화되었고, 마침내 생여진의 아골타가 일으킨 대금(大金)에 의하여 멸망당하고 말았다.

 

   거란에 대항하던 모든 대진국인들에게 동종론(同種論)으로 민족적 동질성을 깨우쳐 주면서 고구려의 후예들에게 크게 호응을 얻은 아골타의 대금국은, 거란은 물론 중원지방의 송나라 왕실까지도 회하(淮河) 남쪽지방으로 밀어내어 버리고, 몽골지방을 비롯한 중앙아시아의 비단길까지 그 판도를 확장했다.

 

   명실공히 광개토대제 당시의 고구려의 최전성기를 재현한 대금국은 고구려의 정통을 이은 동아시아의 종주국으로 자처하며, 남송을 비롯하여 주변의 모든 나라들에게 복종과 조공을 받아내었다.

 

   고려는 일찌기 아골타의 근거지였던 동만주의 완안부(完顔部:‘완안’은 “王”이라는 의미라고 함) 여진을 정복하고 구성(九城)을 쌓은 적이 있었으나, 여진의 신종(臣從)서약을 받고 그것을 되돌려 준 적이 있었다.

 

   고려인들은 급성장하는 위세로 고려에 대해서도 신종을 요구해 온 금나라의 조처에 크게 반발하였고, 그에 따라서 금을 쳐서 진정한 고구려의 후계자가 누구인가를 가리자는 국선파(國仙派)와, 굴욕적이더라도 전란만은 피하자는 사대파(事大派)로 나뉘어 대립한 끝에 사대파가 득세함으로써, 고려와 대금은 불평등한 조건하에서나마 그런대로 평화공존을 누릴 수는 있었다.

 

   당시의 세력차이로 볼 때, 고려는 이미 이백여년 지내오는 동안 비교적 안정된 사회를 이루고 있었으나 오랜 태평으로 대부분의 국민은 불필요한 전쟁을 원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었고, 대금은 아직 안정을 찾지 못한 채 당시의 전세계 최대의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었으니만큼, 동족간의 상쟁이라고 볼 수 있는 대금과의 전쟁은 일부러 일으킬 필요까지는 없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고려사회의 진정한 문제는 당시에 세부득이(勢不得已)하여 스스로 취했던 사대정책이 그 시행자들인 김부식 일파의 자기합리화를 위하여 과대하게 평가되어, 한민족의 옛 역사 자체가 모두 사대주의로부터 벗어나지 못해왔다는 식의 왜곡된 시각과 결론을 끌어내기에 이르렀던 점이다.

 

   그러한 자기비하적 자기합리화의 대표적인 이론서가 다름아닌 삼국사(三國史)이며, 현재까지도 의식적․무의식적으로 국내․외의 간악한 무리들에 널리 악용되고 있는 근거 자료가 되고 말았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점을 명확하게 민족주체적으로 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그러한 삼국사의 서술 내용에서도 한민족의 활발했던 역사활동을 잘 알 수 있다.)

 

   중원지방에까지 다시 통치권을 확립한 여진인들은 그 지방의 통치에 유리하도록 자신들의 고유한 기풍과 제도 등을 그 지방의 사정에 맞도록 스스로 고쳐 나갔다. 그러나 지나친 형식과 사치풍조가 만연되어 있던 중원지방의 풍습을 따라간다는 것은 부패와 부정을 유발하는 부작용을 낳았고, 여진인들 스스로의 통치력을 약화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 고려무신정권 최후의 집권자 최의 초상화  © 플러스코리아



   고려에서도 안일한 사대주의의 만연으로 문신(文臣)들 중에서 극히 바람직하지 못한 사치․방탕에 빠진 오만한 권세가들이 발호하여 사회문제화되었다.

 

   일부 문신들의 오만은 극에 달하여 무신(武臣)들에게 모욕과 행패를 일삼는 자들마저 나타났으므로, 참다 못한 무신 정중부는 일대 반정을 시도하여 그 처신상에 문제성이 많던 문신들을 일망타진하고, 이른바 ‘무신정권’을 수립하였다.

 

   그 무신들간에도 다시 수차례의 세력다툼이 벌어진 후에 최씨일가에 의한 4대에 걸친 장기집권이 시행되었는데, 바로 그 기간 중에 동아시아뿐만 아니라 전 세계는 몽골족의 대공세를 맞이하여 큰 혼란에 빠지고 말았다.

 

   몽골을 일으킨 칭기스․칸의 일족은 흑룡강 상류일대에서 유목생활을 하던 여진인들의 한 부족이었고, 당시 금나라의 지나친 고압적 횡포와 유목부족들간의 치열한 내부분쟁이라는 이중의 고통에 시달리고 있던 몽골지방의 유목민들을 규합하는 데 성공했다.

 

   몽골군은 북아시아의 유목민들을 경멸해 오던 중앙아시아지방의 회교국가들과 중원지방의 패자(覇者)인 대금을 굴복시키려고 닥치는대로 살기등등한 정복전을 펼쳤다.

 

   당시 지금의 중앙아시아지방에서 위세를 떨치고 있던 코라즘의 술탄이 몽골사신들을 첩자로 몰아서 잔인하게 처형해 버린 것은 몽골인들을 크게 자극하여, 그 후 벌어진 몽골의 이슬람제국에 대한 무자비한 공격에는 어떠한 자비도 베풀어지지 않았다.

 

   코라즘을 정벌한 칭기스․칸은 금나라를 공략하는 첫 순서로서 감숙지방의 탕구트(서하)를 먼저 정벌했고, 이어서 남송과 동맹하여 금나라를 포위 공격했는데, 그와 함께 동쪽의 우환거리로 여겨진 고려에 대해서도 조공을 강요했다. 고려는 물론 즉각적으로 이에 반대하였고, 그에 따라서 몽골의 침략을 자초하게 되었다.

 

   거란의 수차례에 걸친 대공세도 격파했던 고려인들이 일개 소수부족인 몽골족에게 순순히 항복할 리가 만무했던 것이다. 그리고 몽골족의 침략에 대한 고려인들의 항쟁은 세계사상 가장 빛나는 항쟁기록의 하나가 되었다.

 

   거의 모든 국민들이 산성과 섬으로 피신한 채 일체가 되어 야만적이고도 맹목적인 몽골족의 침략에 맞서 싸웠던 고려의 의로운 항쟁은 모든 침략을 물리쳤으나, 극심한 국력의 손실로 말미암아 몽골과 비교적 대등한 입장에서 강화조약을 맺는 것으로 대몽항쟁은 일단락되었다. 그러나 그 이후에 세계를 거의 다 석권했던 몽골제국(원)의 점차적인 압박으로 인하여 고려가 몽골제국의 하위 국가 처지로 떨어졌던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기도 했다.

 

   고려 조정은 몽골족의 압력에 의해 오랜 평화관계를 유지했던 일본열도에 울며 겨자먹기로 파병할 수밖에 없었는데, 이 사건은 그 이후 일본해적(왜구)들의 고려 및 조선에 대한 노략질에 항구적인 구실을 제공해주는 결과가 되기도 했다.

배달민족 역사와 문화 창달에 관심이 있는 평범한 시골의사 입니다.
서울중고-연대 의대 졸
단기 4315년(서1982)부터 세계 역사,문화 관심
단기 4324년(서1991) 십년 자료수집 바탕으로 영광과 통한의 세계사 저술
이후 우리찾기모임, 배달문화연구원 등에서 동료들과 정기 강좌 및 추가연구 지속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고려의 자주정책 관련기사목록
광고
포토뉴스
메인사진
미식 여행지 고흥, ‘녹동항 포차’에서 추억을 쌓아요
1/23
연재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