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아시아-아메리카 분리, 베링해협은 '운하(運河)'였었다

베링해북쪽은 수심 30m정도로 낮은데 비해 남쪽은 수심이1600m

김종문 고지도전문위원 | 기사입력 2015/04/17 [07:21]

아시아-아메리카 분리, 베링해협은 '운하(運河)'였었다

베링해북쪽은 수심 30m정도로 낮은데 비해 남쪽은 수심이1600m

김종문 고지도전문위원 | 입력 : 2015/04/17 [07:21]

[홍익/통일/역사=플러스코리아타임즈 김종문] 1700년 이전에 제작됐다는 영문고지도들의 대부분은 MONGAL(몽골,蒙古)을 현대의 유라시아 중앙이 아닌 만리북동의 Sakha Republic(사하공화국)지역에 표시했으며 몽골의 동쪽에 幾於萬里(수만리)크기의 韓半島(한반도)는 미대륙이었습니다. 그런데 미대륙은 ASIA와 분리되어 AMERICA가 되었고 중간에는 Bering Strait(베링해협)과 Bering Sea(베링해)가 생겼습니다.

왜 이런 대륙의 분리가 일어난 것인가?

관련 고지도들을 종합해 볼때 遼水(요수)와 北海(북해)를 연결하는 運河(운하)를 판 것이 원인으로 보입니다.

▲ 1531 Orontius Fineus  현재의 베링해협인근에 MONGAL(몽골,蒙古)의 산들이 北海(북해)와 遼水(요수)사이에 밀집해 있다.     ©김종문 고지도전문위원

 
Orontius지도의 원안에 MONGAL(몽골,蒙古) 근처에는 산들이 밀집되어 있어서 北海(북해)가 넘어 오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일부 구간만 물길을 연결해줄 수 있다면 북해가 물길을 따라 남으로 내려오면서 육지를 점점 깎아 내렸을 것이고 세월이 가면서 물길이 넓어져서 운하가 되었을 것입니다.

16세기 Bering Strait(베링해협)에는 孛兒沙漠(베얼사막)이 있었다.

16세기 고 지도들에 Bering Strait(베링해협)지역은 BELOR DESERT(베얼사막, 孛兒沙漠)이 있었다고 표시되 있습니다. 상식적으로 단단한 암반을 바닷물이 깨는 것은 오랜 세월이 걸리며 몇백년 만에 거대한 대륙이 사라지는 것은 어려울 것입니다. 그런데 모래가 있는 사막이라면 예기가 다를 것입니다. 사막으로 끊임없이 北海(북해)가 내려온다고 한다면 백년이면 모든 것이 달라질 것입니다. 

▲ 1531 Orontius Fineus  1: MONGAL(몽골,蒙古), 2: BELOR DESERT(베얼사막, 孛兒沙漠), 6: 大遼水(대요수), 3: TOLOMA(도로마), 4: TANGUT(서하, 西夏), 6: 遼東(요동) 16세기 영문고지도들에 Bering Strait(베링해협)과 Bering Sea(베링해)지역에는 몽골의 베얼사막에서 발원한 대요수가 TOLOMA와 요동사이를 흘러서 남쪽의 바다로 들어갔다.     ©김종문 고지도전문위원

 
Bering Strait(베링해협)이 있는 곳은 MONGAL(몽골, 蒙古)의 BELOR DESERT(베얼사막, 孛兒沙漠)과 遼東(요동)의 접경지역으로 17세기 淸國(청국)의 강역이었습니다. 그런데 IESSO운하가 영문고지도들에 보이는 시기 전에 대조선COREA는 인조 14년(1636) 12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병자호란(丙子胡亂)을 겪었고 후금은 당시 60여만의 조선인들을 포로로 끌고 갔다고 합니다. 60만이면 그 일부의 인원만 동원해도 대단한 토목공사를 할수 있는 인원으로 遼水(요수)와 北海(북해)로 흐르는 몽골의 강을 연결하여 運河(운하)를 만들기에 충분한 인력으로 요수를 북해와 연결하는 운하를 만든 것은 병자호란 후에 後金(후금)일 것입니다.

Bering Strait(베링해협)은 canal(운하, 運河)였다

수많은 고지도들에 Bering Strait(베링해협)은 Strait(해협, 海峽)으로 표시돼 있지만 canal(운하, 運河)로 그려진 지도들도 있습니다. 운하는 배의 운항을 위해 건설된 수로이기에 그 폭이 좁으며 해협은 폭이 좁은 바다를 말하기에 운하보다 폭이 크며 원래 canal(운하, 運河)였던 것이 세월이 가면서 넓어져 Strait(해협, 海峽)이 되었던 것입니다.
 
▲ 1757 Buache Philippe  Bering Strait(베링해협)은 원래 폭이 좁은 Canal(운하)였으며 1780년경 까지도 Bering Sea(베링해)는 육지였다.     ©김종문 고지도전문위원

 
위의 지도는 현재의 세계사가 거짓임을 알 수 있는 지도로 1차 베링탐사가 있었다던 1728에서 29년 후에도 바다라던 Bering Sea(베링해)는 육지였으며 거리도 매우 가까웠습니다.

현 세계사는 수많은 고지도들을 감추고 조작된 지도들을 전면에 내세워 운하였던 베링해협을 원래부터 해협이고 230여년전에도 육지였던 베링해는 원래부터 바다였던 것으로 교육하고 있는 것입니다.

北海(북해)가 Bering Strait(베링해협)으로 밀려 내려온다.

지구는 자전하며 그로 인해 바닷물의 흐름인 조류가 발생하고 현재 北海(북해)로 흐르는 막대한 량의 바닷물이 Bering Strait(베링해협)을 통해 Bering Sea(베링해)로 밀려 내려옵니다. 현 베링해협의 지형을 보면 깊이 30~50m 폭이 좁은 곳이 약 82km로 ASIA(아시아)와 AMERICA(미대륙)은 KOREA부산과 JAPAN본토 사이(약 180km)의 반도 안되는 매우 가까운 거리입니다. 
 
▲ Bering Strait(베링해협)의 해류도를 보면 北海(북해)에서 베링해협을 통해 강력한 한류가 Bering Sea(베링해)로 흘러 내리고 있다.     ©김종문 고지도전문위원


해류도를 보면 北海(북해)에서 Bering Strait(베링해협)을 통해 한류가 강력하게 흘러 내려오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베링해협의 수심은 30~50m로 매우 얕습니다. 만약 베링해협으로 내려오는 한류를 막는다면 한시간이면 베링해협의 수위는 낮아져 육지가 들어날 것입니다.

베링해협의 축치자치구와 알래스카를 보면 좌우에 1880m 1250m 의 높은 산들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 Bering Strait(베링해협)지역에는 천미터가 넘는 높은 산들이 흔하다.      ©김종문 고지도전문위원

 러시아쪽의 지형을 보면 높이도 나오지 않는 산들이 밀집해 있으며 베링해협은 단단한 암석절벽으로 보기에도 강한 물살을 잘 견디어 낼 것으로 보입니다.

▲ 러시아 축치자치구의 Bering Strait(베링해협)해안은 단단한 암석절벽이다.     ©김종문 고지도전문위원

 
그런데 알래스카쪽은 러시아쪽이 암석절벽인 것과는 대조적으로 온통 모래사장입니다.

▲ Bering Strait(베링해협) Alaska(알래스카) 지역은 온통 모래들로 되어 있다.     ©김종문 고지도전문위원

 
Alaska(알래스카) 베링해협인근은 영문고지도상에 BELOR DESERT(베얼사막, 孛兒沙漠)지역에 속하며 현재도 사막들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 Bering Strait(베링해협)인근 Alaska(알래스카)지역은 지금도 곳곳에 沙漠(사막)들이 있다.     ©김종문 고지도전문위원

 
Bering Strait(베링해협)이 몇백년도 안되어 82km가 넘게 벌어지게 된 것은 알래스카쪽이 암반이 아닌 모래들로 되어 있어서 北海(북해)에서 내려오는 강한 물살을 이기지 못하고 침식되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Bering Sea(베링해)의 수심은 30~50m

1번 라인은 섬들처럼 보이지만 이것은 육지의 흔적으로 1000m가 넘는 산들이 줄지어서 있는 산맥이 바닷물에 잠겨 섬들이 된 것이며 베링해는 남쪽의 분지 위로는 수심이 낮습니다.  
 
▲ 1: 알류산 열도는 1000m가 넘는 산들이 줄지어 있으며 北海(북해)에서 Bering Strait(베링해협)을 통해 한류가 강하게 내려오지만 Bering Sea(베링해) 2번선 북쪽은 수심이 30~50m로 매우 낮으며 3: 베링분지는 평균 수심이 1천600m, 최대 수심은 4천100m가 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김종문 고지도전문위원

 
 자세히 보면 2번 지역에 베링해협의 강한 물살에 의해 베링해의 지각이 뜯겨 올라간 것으로 보이는 흔적들이 보이며 베링해 북쪽지역은 현재 수심이 30~50m로 매우 낮습니다.  

▲ Bering Sea(베링해)의 중간지역 지형은 강한 물살에 땅이 뜯겨 올라간 것으로 보이며, 베링해북쪽지역은 수심이 30~50m정도로 낮은데 비해서 남쪽은 평균수심이1600m라고 한다.     ©김종문 고지도전문위원

 
현재 평균 수심 1600m 최대 수심은 4천100m 라고 하는 베링해남쪽 분지의 수심이 진실인지는 14년 12월 1일에 있었던 KOREA의 오룡호 침몰사건으로 알 수 있겠습니다.
  
▲  2014년 12월 1일 러시아 서베링해에서 침몰한 사조산업의 명태잡이 트롤선인 '501오룡호'가 침몰한 지역의 수심은 180m이다.     ©김종문 고지도전문위원

 
오룡호가 침몰한 베링해 지역은 평균수심 1600m라고 알려진 베링해 분지의 서쪽지역입니다. 그런데 오룡호가 침몰된 지역의 수심이180m라고 발표가 되었습니다. 서베링해 수심이 180m인데 조금 동쪽은 평균수심이 1600m일 수 있을까요? 

18세기 영문고지도들 중 북태평양지역을 상세히 그린 다수의 영문고지도들은 1780년경 까지도 베링해가 육지였음을 증거하고 있으며 그러한 고지도들을 근거로 보면 베링해 평균수심 1600m는 거짓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 (좌) 1716 Johann Baptist Homann  (우)1740 Johann George Schreiber   두 지도의 원안의 Bering Sea(베링해)를 보면 18세기초 베링해의 대부분을 육지로 표시했다.     ©김종문 고지도전문위원
 

만약 베링해협으로 밀려 내려오는 北海(북해)의 차가운 바닷물을 막는다면 베링해북부는 몇 일이면 수심이 낮아져 다시 육지가 될 것이고 베링해 주위는 기후가 온난해지면서 세월이 흐르면 다시금 사막이 생기게 될 것입니다. 그것은 현재의 지리만을 보더라도 당연한 예측으로 베링해협을 막으면 모든 것은 변할 것입니다.

영문고지도들을 공부하다 우연히 고지도들의 중요지명들이 이동된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그 후 현재의 중요지명들의 위치가 세계사조작을 위하여 이동되었음을 알게 되었고, 2년여간 지명이동사례들을 탐구하여 정리하였습니다. 2014년 7월부터 고지도조작의 사례들을 모은 ‘고지도의 진실’을 알리고 있습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고지도 관련기사목록
더보기
광고
포토뉴스
메인사진
미식 여행지 고흥, ‘녹동항 포차’에서 추억을 쌓아요
1/23
연재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