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전남도, 공공비축미 14만4천톤 매입 전국 최대

산물벼 3만2천톤 11월 말·포대벼 11만2천톤 12월 말까지

윤진성 기자 | 기사입력 2023/09/23 [08:45]

전남도, 공공비축미 14만4천톤 매입 전국 최대

산물벼 3만2천톤 11월 말·포대벼 11만2천톤 12월 말까지

윤진성 기자 | 입력 : 2023/09/23 [08:45]

[플러스코리아타임즈 = 윤진성 기자]전라남도는 2023년산 공공비축미 14만 4천 톤으로 전국 최대로 물량을 확보오는 12월 말까지 매입한다고 밝혔다.

 

공공비축미 14만 4천 톤 중 3만 2천 톤은 농가 편의를 위해 산물벼(수확 후 건조하지 않은 벼형태로 미곡종합처리장(RPC), 벼 건조저장시설(DSC)에서 매입하고나머지 11만 2천 톤은 포대벼(수확 후 건조·포장한 벼형태로 매입할 계획이다.

 

매입 일정은 산물벼는 이달부터 11월 30일까지포대벼는 10월 10일부터 12월 31일까지다.

 

공공비축미 매입 가격은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수확기(10~12평균 산지쌀값을 조곡(가격으로 환산해 연말에 결정한다농업인은 공공비축미 출하 직후 포대(40kg 조곡 기준)당 3만 원의 중간 정산금을 지급받은 후 연말에 최종 정산을 받게 된다.

 

공공비축 매입 대상 벼 품종은 매년 시군에서 자체적으로 2개 이내로 지정하고 있다매입 종료 이후 민간 검정기관에 품종검정(DNA 검사)해 지정된 품종 이외의 품종으로 공공비축미를 출하한 농업인은 5년간 공공비축미 매입 대상에서 제외된다.

 

또한 공공비축미 친환경 벼의 경우 철저한 품질관리를 위해 전체를 대상으로 잔류농약 검사를 추진한다농약이 검출된 물량은 농가 회수 또는 일반벼로 전환 매입을 하되친환경 인증 취소와 함께 향후 5년간 공공비축미 매입 대상에서 제외하므로농가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강효석 전남도 농축산식품국장은 올해 공공비축미 매입 기간에 농가의 불편함이 없도록 관계기관과 차질 없이 준비하고 매입에 누락되는 농가가 없도록 안내·홍보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향후 추가 매입물량 확보에도 적극 나서 매입량 확대를 통한 벼 재배농가 소득증대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전남도는 공공비축미 매입 장소에는 지자체 공무원을 2인 이상 배치하고지게차·차량 등 운송수단 이동 및 작업 시 안전요원을 배치하는 등 공공비축미곡 매입 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에도 적극 나선다.

이메일:tkpress82@naver.com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포토뉴스
메인사진
고흥 팔영산 편백 치유의 숲, “숲속의 작은 음악회”성료
1/23
연재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