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김승남 의원, 국내 식품성분 DB 구축, 선진국 대비 현저히 뒤처져

- 국내 식품성분DB 생산량은 미국 대비 40% 수준에 불과, 식품영양 정보 관련 연구 미흡- 농촌진흥청 내 ‘농식품영양기능성분센터’ 설치해 DB자급률 높여야

윤진성 기자 | 기사입력 2020/10/13 [07:41]

김승남 의원, 국내 식품성분 DB 구축, 선진국 대비 현저히 뒤처져

- 국내 식품성분DB 생산량은 미국 대비 40% 수준에 불과, 식품영양 정보 관련 연구 미흡- 농촌진흥청 내 ‘농식품영양기능성분센터’ 설치해 DB자급률 높여야

윤진성 기자 | 입력 : 2020/10/13 [07:41]

 



김승남 국회의원(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은 피감기관인 농촌진흥청에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업과 식품의 동반성장을 위해서는 농업 중심으로 편중된 농식품 R&D사업을 개선하고, 농산물을 포함한 식품의 영양성분 분석 및 연구를 강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농촌진흥청은 국민의 건강 유지, 올바른 농식품 영양정보 제공을 위하여 1970년부터 농식품 영양성분 DB를 구축하여 5년 주기로 「국가식품성분표(`21, 10개정판 예정)」를 발간하고 2019년부터 매년 대국민 공개를 하고 있다.

그러나 국가식품성분 DB 현황을 살펴보면, 국내 식품원료 4,900종 대비 약 30%의 데이터만 확보돼 있다. 이 중 16%도 외국 데이터를 인용한 수준에 머물렀다. 이는 미국 대비 40%에 불과하여 국내 영양성분 분석 데이터 자급률이 선진국 대비 뒤처지고 있다.
*한국 : 식품수 3,088점(영양성분 수 130) / 미국 : 7,793점(144성분)

국민의 건강에 대한 관심 고조, 식품 소비(식생활)의 다양화로 식품성분 데이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반면, 현재 농촌진흥청의 식품성분 관련 분석, 데이터 가공 인력 및 서비스의 한계로 신속한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다.

김승남 의원은 “코로나19에 따른 가정간편식 시장 성장 등 식생활 변화로 식품영양정보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며 “국민건강 증진과 바람직한 식품소비·식생활 정착, 산업적 활용 및 농업의 부가가치 상승을 위해 농촌진흥청이 식품성분데이터 관련 연구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질의했다.


김 의원은 “농촌진흥청 내 식품성분 데이터 생산 관리를 위한 국가 전담 조직을 신설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며 “식품성분 분석 확대 및 디지털정보 생산을 위해 노력해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한편, 국가표준식품성분 DB는 농식품부(농산물수급조절), 식약처(식품안전나라 영양정보 서비스), 보건복지부(국민건강통계, 한국인영양섭취기준설정), 교육부‧국방부‧법무부(단체급식)에서 활용하고 있으며, 병원 환자식 개발, 식이섭취 소프트웨어 및 스마트 가전 개발, 검색포털 영양정보 서비스, 온라인 유통 및 수출 농산물 영양표시 등의 산업진흥 부문에서도 활발히 쓰이고 있다. 윤진성기자 0031p@hanmail.net 

이메일:tkpress82@naver.com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포토뉴스
메인사진
울주군, 제5회 작천정 벚꽃축제 개최
1/23
연재
광고